불교

[스크랩] 37 조도품이란~?

생각소리 2015. 9. 9. 17:20

 37조도품이란~?

 

37조도품 -열반의 이상경에 나아가기 위하여 닦는 도행의 종류(깨달은 방법)

 

-사념처, 사정근, 사여의족(사신통), 오근, 오력, 칠각지, 팔정도.

 

-4+4+4+5+5+7+8=37

 

 

 

【1】사념처(邪念處) -신역(新譯)은 사념주(四念住).

 

-소승의 수행자가 3현위(賢位)에서 오정심관(五停心觀)

 

다음에 닦는 관으로, 身念處 ․ 受念處 ․ 心念處 ․ 法念處.

 

 

 

신념처(身念處) -부모에게 받은 육신이 부정하다고 관하는 것.

 

수념처(受念處) -우리의 마음에 낙이라고 하는 음행.

 

-자녀나 재물 등을 보고 낙이라고 하는 것은 참 낙이 아니고,

 

모두 고통이라고 관하는 것.

 

심념처(心念處) -우리의 마음은 항상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고, 늘 변화하고

 

생멸하는 무상한 것이라고 관하는 것.

 

법념처(法念處) -위의 셋을 제하고 다른 만유에 대하여 실로 자아(自我)인

 

실체가 없으며, 또 나에게 속한 모든 물건을 나의 소유물

 

이라고 하는데 대해서도 모두 일정한 소유자가 없다고

 

무아관을 하는 것.

 

별상념처관(別相念處觀) -이 사념처관을 身․受․心․法의 순서대로 따로따로 관하는 것을 별상념처관,

 

총상념처관(總相念處觀) -총합하여 관하는 것을 총상념처관이라 한다.

 

 

 

【2】사정근(四正勤) -또는 사정단(四正斷) ․ 사정승(四正乘) ․ 사의단(四意端) ․ 사의단(四意斷). 열반에 나아가기 위해 닦는 4가지 법.

 

⑴이미 생긴 악을 없애려고 부지런함.

 

⑵아직 생기지 않은 악을 미리 방치하려고 부지런함.

 

⑶이미 생긴 선을 더욱더 자라게 하려고 부지런함.

 

⑷아직 생기지 않은 선을 생기도록 부지런함.

 

 

 

【3】사여의족(四如意足) -사여의분(四如意分) ․ 사신족(四神足)이라고도함.

 

•如意 -뜻대로 자유자재한 신통.

 

•足 -신통이 일어나는 각 족이 되는 뜻으로 여의족이라한다.

 

- 이 정을 얻는 수단에 욕(欲) ․ 정진(精進) ․ 심(心) ․ 사유(思惟)의 넷이 있으므로 일어난 원인에 의하여 정(定)을 나눈다.

 

-欲如意足 ․ 精進如意足 ․ 心如意足 ․ 思惟如意足.

 

 

 

⑴欲如意足 -수승한 선정을 얻으려고 간절하게 원하는 것.

 

⑵精進如意足 -進如意足이라고도 한다. 쉬지 않고 한결같이 나아가는 것.

 

⑶心如意足 -念如意足.

 

※솔직히 고백하면, 참선과 화두 등, 선에 대해선 수행을 한 일이 없어서,

 

알 수가 없습니다. 아무리 커피를 설명해보려 해도 먹어본 일이 없는 사람은 그 맛을 모르는 이치와 같겠지요!

 

⑷思惟如意足 -정리(正理)를 사유하고 원하는 것을 얻어 신통이 헤아리기 어려운 것을 말함.

 

 

 

【4】오근(五根) -보고(눈), 듣고(귀), 맡고(코), 맛보고(입), 접촉하는(몸)의 다섯가지 감각기관인 오관(오근).

 

-보리에 도달하기 위한 향상기관 방법으로 유력한 5종(신근․진근․염근․정근․혜근). 이들 오근은 색온(色蘊-물질적인 존재)에 의거함.

 

•오근 -눈, 귀, 코, 혀, 몸의 5근.

 

•오관 -보고, 듣고, 맡고, 맛보고의 5관.

 

신근(身根) -삼보와 사성제를 믿음.

 

염근(念根) -염은 대경을 마음에 머물러 두고 잊지 않는 작용.

 

정근(定根) -마음을 한 곳에 머물러 두어 산란치 않게 하는 선정.

 

혜근() -혜는 우리로 하여금 진리를 깨닫게 하는 수승한 능력이 있으므로 근이라 한다.

 

진근(進根) -정진을 말한다.

 

 

 

【5】오력(五力) -불교에 대한 실천방면의 기초적 덕목이 되는 5종.

 

신력(信力) -불법을 믿고 다른 것을 믿지 않는 것.

 

진력(進力) -선을 짓고 악을 폐하기에 부지런히 하는 것.

 

염력(念力) -사상을 바로 가지고 사특한 생각을 버리는 것.

 

정력(定力) -선정을 닦아 어지러운 생각을 없게 하는 것.

 

혜력(慧力) -지혜를 닦아 불교의 진리인 4체(사성제)를 깨닫게 하는 것.

 

 

 

오력(五力) -불가사의한 다섯가지 힘.

 

정력 -일체 선정의 힘.

 

통력 -일체 신통의 힘.

 

차시력 -이선천 이상에는 오식이 없으므로 필요한 신통으로 자유롭게 초선천의 오식을 일으키는.

 

원력 -불․보살의 큰 원.

 

법위덕력 -불법의 위덕의 힘.

 

 

 

【6】칠각분(칠각지 = 37조도품) -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도행의 종류에 37종이 있는데, 그 중 제 6, 七普提分 ․ 七覺支 ․ 七覺意 ․ 七覺이라고도 한다.

 

불도를 수행하는데 지혜로써 참되고 거짓되고 선하고 악한 것을 살펴서 골라내고 악한 것은 버리는 것을 알아차리는데 7종이 있다.

 

 

 

택법각분(擇法覺分) -지혜로 모든 법을 살펴서 선한 것은 골라내고 악한 것은 버리는 것.

 

정진각분(精進覺分) -가지가지 수행을 할 때에 쓸데없는 고행은 그만 두고 바른 도에 전력하여 게으르지 않는 것.

 

희각분(喜覺分) -참된 법을 얻어서 기뻐하는 것.

 

제각분(除覺分) -그릇된 견해나 번뇌를 끊어버릴 때에 능히 참되고 거짓됨을 알아서 올바른 선근을 기르는 것.

 

사각분(捨覺分) -바깥 경계에 집착하던 마음을 여읠 적에 거짓되고 참되지 못한 것을 추억하는 마음을 버리는 것.

 

정각분(定覺分) - 정에 들어서 번뇌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.

 

염각분(念覺分) - 불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잘 생각하여 정․혜가 고르게 하는 것.

 

- 이상 ⑴⑵⑶은 마음을 일깨우고, ⑷⑸⑹⑺은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.

 

-마음이 혼침하면 택법각분, 정진각분, 희각분으로 마음을 일깨우고,

 

마음이 들떠서 흔들리면 제각분, 사각분, 정각분으로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.

 

 

 

【7】팔정도(八正道) -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는 18가지 바른 방법으로 부처님께서 우리 중생이 가장 올바른 삶에 이룰 수 있도록 설해주신 가르침입니다.

 

정견(正見) -바른소견, 바른견해로 바로 보는 것입니다.

 

-중생들이 사견을 버리고 바른 지견을 갖는 것입니다.

 

정사유(正思惟)() -의삼업(탐진치).

 

-바른생각․바른판단․바르게 보며, 생각을 바르게 하는 것.

 

정어(正語)() -구사업. 거짓말, 생색내는 말(금주,금연,마약), 이간질, 악담.

 

-쓸데없는 말을 하지 말라.

 

정업(正業)() -신삼업. 살생, 도둑질, 사음(간통).

 

-몸과 마음을 청정히 하고 동작을 바르게 하는 것.

 

정명(正命) -바른 생활을 하라는 것입니다.

 

-바른 생활이 끊임없이 계속 되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.

 

정정진(正精進) -바르게 노력하는 것입니다.

 

-바른 생활이 끊임없이 계속되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.

 

정념(正念) -바른 진리를 망각하지 않도록 기억하며 생각하는 것.

 

정정(正定) -맑고, 밝고, 또렷하게 안정시키는 것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출처 : 히말라야의 꿈 (The Dream of Himalaya)
글쓴이 : 반야심 원글보기
메모 :